관심사/기사 리뷰 4

미국/세계 인플레이션 잡혔다고 볼 수 있나? 경기 침체는?

2022년 12월 미국의 소비자 물가가 0.1% 하락했다는 통계가 나온 뒤 전세계 경제가 안도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올 2023년에는 에너지 가격과 물가가 하락함에 따라 인플레이션이 연 2% 밑으로 떨어질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도 이어졌죠. 하지만, 한 가지 주의 깊게 봐야할 점은 물가 상승률과 함께 GDP 상승률도 둔화되었다는 점입니다. 소비 판매와 산업 생산량도 지난 12월에 감소 추세를 보이면서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는 아직 남아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미국의 고용 시장이 굉장히 건강한 점이 그나마 다행인 점이지만, 노동자에 대한 높은 수요가 물가에 대한 상승 압력이라고 보고 있는 미국의 연준(Fed)은 인플레이션이 잡히지 않았다고 받아들일 것이라는 점입니다. 최근 들어 미국의 빅테크 기업이 ..

[일본] 10년 국채 수익률 상승 - 일본 통화 정책 변화의 신호탄?

그동안 축소적인 (시중에 풀린 자금을 거둬들이는) 통화 정책에 소극적이었던 일본 은행 (Bank of Japan, 줄여서 BoJ) 최근 몇 달동안은 일본 중앙은행이 2023년에는 적어도 축소적인 통화 정책을 내놓을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많았습니다. 다만, 그게 올해가 될 줄은 몰랐죠. 2022년 12월 20일. 일본 은행은 10년 국채물의 수익률(yield) 상한선을 0.25%에서 0.5%로 올렸습니다. 사실상의 금리 인상으로 평가 받는 이번 일본 은행의 결정은, 급격한 엔화 상승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실 급격히 상승해봤자.. 지난 20년에 비춰봤을때도 아직 최저치긴 합니다) 2016년부터 일본 은행은 채권 시장에 개입하면서 10년 국채물의 수익률을 0%대로 낮추는 "yield curve control"..

[Economist] 중국 정부와 자본 시장

오늘은 중국 공산당과 중국 자본 시장 사이의 관계에 관한 기사를 리뷰해보려고 합니다. 오늘 읽어 볼 기사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2/11/22/xi-jinpings-big-bang-for-chinese-stockmarkets Xi Jinping’s big bang for Chinese stockmarkets China’s capital markets are complying with the Communist Party’s vision www.economist.com 오늘 이야기의 시작은 CloudWalk라는 기업의 기업 공개(IPO)에서 시작되는데요. 사람들의 얼굴을 1초도 안 되는 시간에 정확하게 인식하는 기술을 가진 이 기업은, 최근..

[Economist] 타이트한 미국의 노동 시장

굉장히 자극적인 기사 제목.. 왜 미국의 실업률은 높아져야 하는가.. https://www.economist.com/finance-and-economics/2022/11/24/why-american-unemployment-needs-to-rise Why American unemployment needs to rise Lessons from the tightest corner of the country’s ultra-tight labour market www.economist.com 보통 노동 시장에서 문제점이라고 하면, 많은 구직자들이 원하는 직장을 찾지 못해 실업률이 높은 상황을 떠올리기 마련인데 이 기사에서는 반대로 많은 회사들이 노동자를 찾지 못해 생기는 구인난에 관한 이야기를 하고 있다. 이 상황..